
우리나라에서 나이를 세는 방법은 만 나이 / 연 나이 / 세는 나이 (한국식 나이)3가지가 존재합니다.
공적인 문서에는 보통 만 나이를 사용하고, 병역법 / 청소년 보호법 등은 연 나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복잡하죠?
이번 글 에서는 공적인 문서에서 주로 사용하는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만 나이 계산방법
태어난 순간부터 1살이 되는 세는 나이와는 다르게 만 나이는 만(滿 : 찰 만)자를 써서 태어나는 순간에는 0살, 1년이 채워지면 1살이 되는 나이입니다.
우리나라의 사회에서는 보통 세는 나이를 사용하고 계실겁니다.
※ 세는 나이 : 태어나면서 1살이고, 1월 1일부터 나이 + 1
( 12월 31일에 태어난 사람은 태어난 다음 날부터 2살이 됩니다.)
※ 연 나이 : 연 나이는 세는 나이와 동일하지만 태어났을 때 0살입니다.
세는 나이를 기준으로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1) 생일이 지났을 경우 : 세는 나이 - 1년
2) 생일이 안 지났을 경우 : 세는 나이 - 2년
예를 들어 세는 나이가 20살인 사람은 생일이 안지났을 경우에 만 18세, 생일이 지난 경우에는 만 19세입니다.
그럼 엑셀을 가지고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만 나이 계산기 만들기
먼저 아래와 같이 표를 만들어봤습니다.

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가지고 있는 단순한 표입니다.
이 표를 가지고 아래의 순서대로 만 나이를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1) 주민등록번호로 생년월일 구하기
2) 만 나이 계산 하기
1.주민등록번호로 생년월일 구하기
먼저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서 생년월일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2000년생 이후부터는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가 3(남자)/4(여자)로 시작됩니다.
따라서,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시작번호를 먼저 구했습니다.
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시작번호를 구하기 위해서는 엑셀의 MID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.
=MID(텍스트값, 찾기 시작할 위치, 시작위치부터 표시할 값)

=MID(D4, 8, 1) 의 뜻은 D4셀(주민등록번호)의 8번째 자리부터 1개의 값을 표시하라는 뜻이 됩니다.
그럼 주민번호 뒷자리도 구했으니 생년월일을 구해보도록 합시다.

수식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.
=TEXT(IF(OR(F4'="1", F4'="2"), "19", "20") & MID(D4, 1, 6)),"####-##-##")
수식을 한글로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"F4셀(주민등록번호 7번째 자리)의 값이 1 또는 2인 경우에는 "19" 아니면 "20"을 표시하고 D4셀(주민등록번호)의 처음부터 6번째 자리까지의 텍스트와 연결해서 "####-##-##" 형태로 출력하라"라는 뜻입니다.
결과를 보시면 장대리와 장인턴은 주민등록번호 7번째 자리의 값이 4와 3 이기 때문에 생년월일이 20으로 시작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오늘날짜는 TODAY() 함수를 사용하면 알아낼 수 있습니다.
이제 만 나이에 필요한 생년월일과 오늘날짜를 알아냈으니 만 나이를 계산해보도록 합시다.
2. 만 나이 계산하기
이미지가 잘 안보이시는 분은 아래의 파일을 다운받아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만 나이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습니다.
1) 현재의 년도에서 생년월일의 년도를 빼줍니다.(연 나이 계산 방법)
2) 생일이 안지났으면 -1를 해줍니다.

YEAR 함수는 날짜형식의 문자열에서 년도만 가져오는 함수입니다.
=YEAR(TODAY()) - YEAR(I4)
현재의 년도에서 생년월일의 년도를 빼줍니다.

다음은 생일이 지났는지 안지났는지를 체크해야합니다.
TEXT 함수를 사용해서 현재일자와 생일의 일자를 MMDD 형태로 비교해서 현재 일자가 큰 경우에는 생일이 지났으니 "Y"값을 아닌 경우에는 "N"값을 줄력해줍니다.
=IF(TEXT(TODAY(),"MMDD")>TEXT(I8,"MMDD"),"Y","N")
년도에서 생일을 뺀 값과 생일이후 여부의 값을 구했으니 만 나이만 계산하면 됩니다.

= K4 - IF(M4'="Y", 0, 1)
년도-생년 값에 생일이후 여부값이 "Y"면 0을 빼주고, 아니면 1을 빼주게 했습니다.
이렇게 하면 정상적으로 만 나이가 구해지게 됩니다.
맺음말
이번 글에서는 엑셀을 사용해서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나이 세는 방법을 통일 시키면 편리하겠지만, 2000년 이전 출생자가 전부 사라지기 전까지는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.
그럼 이번 글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더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'개발관련 > Offi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 "비어 있지 않은 셀을 워크시트의 끝으로.." 셀 삽입 오류 해결방법 (2) | 2021.08.08 |
---|---|
엑셀 그림 이미지 전체선택 방법 (0) | 2021.06.09 |
엑셀 그룹별 순번을 부여하는 2가지 방법 ~별첨. 절대주소 사용방법 (0) | 2021.01.18 |
[엑셀공부] 셀에서 줄바꿈 하는 방법 ~한칸에 여러줄 입력하기 (0) | 2020.12.29 |
[엑셀공부] 엑셀 0으로 시작되는 숫자 입력하는 방법 (0) | 2020.07.26 |
최근댓글